※ 연말정산 준비하기
1. 연말정산이란?
2. 연말정산 일정과 절차
3. 이번 연말정산 달라지는 점
4.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
직장인에게 '13월의 월급'이라고 하는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. 연말정산이란 무엇인지, 일정과 절차에 대해 알아보고, 마지막으로 2023년 달라진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연말정산이란?
회사에서 근로자에게 월급을 줄 때 국세청의 간이세액표에 따라 세금을 미리 떼고 월급을 줍니다. 이 세금이 바로 소득세입니다. 국세청이 미리 거둔 이 세금과 근로자의 총 급여액 중에서 각종 공제를 하고 난 후, 실제로 내야 될 세금을(결정세액) 비교하여 미리 거둔 세금이 더 많다면 근로자에게 환급금으로 돌려주기도 하고, 그렇지 않으면 세금을 더 걷는 것입니다.
(1) 연말정산 대상자는?
◎ 소득세를 납부한 모든 근로자, 직장인이 해당됩니다. 하지만 일용직 근로자와 소득이 없는 사람은 해당되지 않습니다.
◎ 사업자로 등록한 보험설계사 등 방문판매원은 사업자라도 연말정산 대상자입니다.
(2) 연말정산 용어
1) 근로 소득과 비과세 소득
● 근로소득: 사업체에서 근로자로서 근로의 대가로 받는 소득으로서 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됩니다.
● 비과세 소득: 근로자가 지급받는 소득 중에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소득을 말합니다. 연말정산 시에 총급여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국세상담센터
국세상담센터
call.nts.go.kr
2) 근로소득공제
● 총급여액에서 기본적으로 공제해주는 소득공제입니다.
3) 과세표준
● 과세표준: 근로자의 총 급여 중에서 세율을 적용할 때의 기준이 되는 금액을 말합니다.
국세청
국세청
www.nts.go.kr
4) 종합소득공제
● 총 급여 금액 중에서 특종 항목의 지출 금액 일부를 공제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
(예: 인적공제, 4대 보험료, 주택자금-주택 마련을 위한 자금 등, 신용카드/체크카드/현금영수증 등)
5) 소득공제와 세액공제
● 소득공제: 근로자의 한 해 총급여에서 소득 금액을 공제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. 즉, 세율을 곱하기 전의 소득 금액을 줄여줍니다.
(예: 총급여가 4,000만 원일 경우, 50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았다면 과세표준 금액은 3,500만 원입니다.
● 세액공제: 소득 공제 후, 세율을 곱한 금액에서 세액 자체를 공제해 주는 것입니다. 즉, 산출세액에서 바로 공제가 되는 것입니다.
(3) 연말정산 Q&A
1) 연말정산 소득공제받으려면?
● 작년에 받은 총 급여 중에서 25% 이상 사용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2) 연말정산 인적공제
● 기본공제 대상자 : 본인, 배우자, 부모, 형제자매
○ 본인은 나이나 소득에 관계없이 150만 원이 공제됩니다.
○ 배우자는 나이는 상관없으나 소득 금액은 100만 원 이하만 공제됩니다. (배우자가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, 총급여가 500만 원 이하)
○ 부모님은(직계존속) 나이는 만 60세 이상이고, 연간 소득은 100만 원 이하(근로소득은 500만 원 이하)입니다.
○ 자녀는(직계비속) 나이는 만 20세 이하이고, 연간소득 100만 원 이하(근로소득 500만 원 이하)입니다.
○ 형제자매는 생계를 같이하고 만 20세 이하, 만 60세 이상(근로소득 500만 원 이하)입니다.
● 추가공제 대상자 : 경로우대자, 장애인, 부녀자, 한부모 가정
○ 경로우대자 : 기본공제대상자가 만 70세 이상인 경우, 1명당 연 100만 원입니다.
○ 장애인 : 기본공제대상자가 장애인인 경우, 1명당 연 200만 원입니다.
○ 부녀자 : 근로소득금액이 3,000만 원 이하, 배우자가 있는 여성 근로자 또는 배우자가 없는 여성근로자가 기본공제대상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인 경우, 1명당 연 50만 원입니다.
○ 한부모 가정 : 배우자가 없는 자로 기본공제대상인 직계비속이 있는 경우, 연 100만 원입니다.
2. 연말정산 일정과 절차
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1월 15일 오픈합니다. 한 달간 국세청 홈텍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신청하시고 자동으로 연계되지 않는 자료들은 미리 준비하셨다가 2월 28일까지 제출하시면 되겠습니다.
(1) 연말정산 일정
◎ 1월 15일 ~ 2월 15일 :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자료를 확인합니다. <국세청 홈텍스>
국세청 홈택스
www.hometax.go.kr
◎ 1월 20일 ~ 2월 28일 : 각종 공제 증명자료들을 제출합니다. (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영수증 등)
◎ 2월 1일 ~ 2월 28일 : 소득 및 세액 공제신고서와 공제 증명자료를 함께 제출합니다.
(2) 연말정산 절차 (계산 순서)
◎ 작년 총 연봉 - 비과세 소득 = 총 급여액
◎ 총 급여액 - 근로소득공제 = 근로소득금액
◎ 근로소득금액 - 종합소득공제 = 과세표준
◎ 과세표준 - 세액공제 = 결정세액 (최종적으로 산출된 실제 세금)
3. 이번 연말정산 달라지는 점
매해마다 세법에 개정됨에 따라 연말정산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습니다. 정부에서 유도하려는 정책 부분에서 소득공제/세액공제율을 조정하는 경우 등이 있기에 미리 확인해보시면 지난해보다 연말정산 환급금이 달라지는 것을 예상하실 수 있습니다.
(1) 월세액 세액공제 상향조정
◎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로서 총급여액이 7,000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국민주택규모 이하 또는 기준시가 3억 원 이하 주택을 임차하기 위해 지급하는 월세액의 15%에 해당하는 금액을 종흡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
(2) 신용카드 등 사용액 소득공제
◎ 2022년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중 2021년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대비 5%를 초과하여 증가한 금액의 20%를 소득공제
(3) 기부금 세액공제 한시 상향기간 연장
◎ 기부금 세액공제율 5% p 상향 조정기간 22년 말까지 연장
(4)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공제
◎ 총 급여액 7,000만 원 이하이고, 과세연도 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가 주택마련저축에 납입한 금액의 40%를 연 400만 원 한도로 공제
(5) 비과세 자가운전보조금 범위 확대
◎ 비과세 자가운전보조금 적용 범위를 종업원이 본인 명의로 임차한 차량까지 확대
(6) 의료비 세액공제 적용대상 확대
◎ 의료비 세액공제 적용대상 확대 및 세액공제율 상향 조정
4.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절차
국세청 홈텍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사이트 조회 방법 및 절차입니다. <국세청 홈텍스>
국세청 홈택스
www.hometax.go.kr
(1)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에 들여가셔서 회원가입 및 공동인증서 등 로그인을 합니다.
(2) 홈텍스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'조회/발급', '연말정산간소화'를 클릭합니다.
(3) 자료제공 동의 신청을 합니다.
(4) 소득, 세액공제 자료 조회/발급(근로자)을 클릭하면 연말정산 자료들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(4) PDF 다운로드/ 인쇄를 합니다.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자료들은 영수증 발급기관에서 직접 증명서류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
(5) 간소화 서비스 PDF 인쇄 자료와 직접 발급받은 영수증 자료를 회사에 제출합니다.
'4.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후원 - 선한 영향력 실천하기 (1) | 2023.01.23 |
---|---|
자동차검사 재검사 합격수기 (공기과잉율 초과) (1) | 2023.01.18 |
운동화 뒤꿈치 셀프 수선 후기 (수선 패드) (0) | 2023.01.03 |
연도별 띠, 색깔, 육십갑자 한눈에 보기 (올해는 무슨 해?) (1) | 2022.12.29 |
자동차검사 예약, 비용, 과태료, 준비물 알아보기 (춘천 자동차검사소) (1) | 2022.12.26 |